한양대학교병원

탭이동 또는 진료과 이동
태그 검색

직업환경의학과는 1991년 산업보건센터로 출발해 2000년 정규 임상과(임상교실)인 산업의학과를 개설했습니다.

2011년 업무 범위를 확장하고 진료과의 특성을 명확히 반영하기 위해 직업환경의학과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직업환경의학과는 2021년 고용노동부가 지정한 특수 검진기관, 보건관리전문기관, 작업환경측정기관과 건강보험공단 지정 일반검진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건강검진센터는 다양한 직종을 가진 노동자의 건강검진을 수행하며 보건관리전문팀과 작업환경측정팀은 현장을 찾아가 노동자 건강관리와 사업장의 유해한 작업환경 개선 방안을 기획, 제안, 자문하고 있습니다.

건강검진센터는 유해화학물질, 소음, 인간공학요인, 직무 스트레스 등 직업적으로 유해 환경에 놓인 노동자(특수검진) 2만 명, 일반 직장(일반검진) 노동자 1만 7,000명, 기타 연구종사자 등 2,000명에 대한 건강 검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건관리대행팀은 보건관리전문기관으로 64개 사업장의 1만 명 노동자가 일하는 현장을 방문해 건강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작업환경팀은 7만 5,000명이 근무하는 240개 사업장의 유해요인을 분석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고 직업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현재 직업환경의학과는 3명의 교수(송재철, 이수진, 민지희), 검진팀, 보건관리대행팀, 작업환경측정팀, 행정팀 등의 21명 직원이 지역사회 노동자의 직업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직업환경의학과는 30여 년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 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훌륭한 팀워크와 실력을 자랑 할만큼 성장했습니다.

관리 및 정책분야에 있어서 직업병인정기준, 산재보 상정책 및 농어업인의 질병관리제도에 관한 연구를 시행한 것도 중요한 실적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무관련성질환인 근골격계질환과 뇌심혈관계질환의 조사방법과 인정기준을 정착시켰고, 고객응대노동자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체계를 만든 것도 의미 있는 업적입니다.

직업보건(또는 산업보건) 제도권에서 소외된 농업인, 어업인, 소방 및 경찰 공무원 등의 건강문제 해결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새집증후군 클리닉을 개설하기도 했습니다.

직업환경의학과는 1991년 산업보건센터로 출발해 2000년 정규 임상과(임상교실)인 산업의학과를 개설했습니다.

2011년 업무 범위를 확장하고 진료과의 특성을 명확히 반영하기 위해 직업환경의학과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직업환경의학과는 2021년 고용노동부가 지정한 특수 검진기관, 보건관리전문기관, 작업환경측정기관과 건강보험공단 지정 일반검진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건강검진센터는 다양한 직종을 가진 노동자의 건강검진을 수행하며 보건관리전문팀과 작업환경측정팀은 현장을 찾아가 노동자 건강관리와 사업장의 유해한 작업환경 개선 방안을 기획, 제안, 자문하고 있습니다.

건강검진센터는 유해화학물질, 소음, 인간공학요인, 직무 스트레스 등 직업적으로 유해 환경에 놓인 노동자(특수검진) 2만 명, 일반 직장(일반검진) 노동자 1만 7,000명, 기타 연구종사자 등 2,000명에 대한 건강 검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건관리대행팀은 보건관리전문기관으로 64개 사업장의 1만 명 노동자가 일하는 현장을 방문해 건강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작업환경팀은 7만 5,000명이 근무하는 240개 사업장의 유해요인을 분석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고 직업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현재 직업환경의학과는 3명의 교수(송재철, 이수진, 민지희), 검진팀, 보건관리대행팀, 작업환경측정팀, 행정팀 등의 21명 직원이 지역사회 노동자의 직업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직업환경의학과는 30여 년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 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훌륭한 팀워크와 실력을 자랑 할만큼 성장했습니다.

관리 및 정책분야에 있어서 직업병인정기준, 산재보 상정책 및 농어업인의 질병관리제도에 관한 연구를 시행한 것도 중요한 실적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무관련성질환인 근골격계질환과 뇌심혈관계질환의 조사방법과 인정기준을 정착시켰고, 고객응대노동자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체계를 만든 것도 의미 있는 업적입니다.

직업보건(또는 산업보건) 제도권에서 소외된 농업인, 어업인, 소방 및 경찰 공무원 등의 건강문제 해결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새집증후군 클리닉을 개설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