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학교병원

목록으로 이동

[알파세대를 위한 건강한 내일을 준비하다] 전자기기 자주보는 아이, 눈 건강 괜찮을까?

소아 안과 질환과 치료에 대한 Q&A

 

글. 임한웅 교수 (한양대학교병원 안과)

전자기기 자주보는 아이, 눈 건강 괜찮을까?

 

Q. 출생 후 아이들의 시력이 완성되는 시기는?

신생아의 경우 생후 3개월에 목표물을 주의 집중해서 보는 주시와 따라보기가 가능하고, 이후 시력이 급격하게 발달하여 6세가 되면 성인의 시력까지 거의 도달한다. 즉, 아이의 시력 성장은 대체로 만 7~8세경에 완성된다.

 

Q. 아이들의 시력 저하 또는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은?

한 눈 또는 두 눈을 찡그린다, 물건을 가까이에서 본다, 고개를 옆으로 돌리거나 턱을 위아래로 올려 본다, 눈을 깜박거린다, 눈부심이 심하다, 눈이 몰리거나 벌어져있다, 한 눈만 찡그린다.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안과 질환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Q. 초등학교 입학 전 반드시 안과 정밀 검사가 필요한가?

성장에 따른 시력 발달이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유아기 아동인 경우 매년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매년 검진이 어려운 경우 최소한 1세, 3세, 6세 때에는 꼭 전문의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 수업과 같이 멀리 있는 칠판이나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해서는 시력에 문제가 없어야 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입학 전에는 안경이 필요한지 굴절 검사와 사시 눈운동 검사, 안저 정밀 검사 등이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시력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약시는 아이가 시력 저하를 스스로 표현했을 때는 이미 적절한 치료시기를 지난 경우가 많다. 영유아기에는 자기 표현 및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대한안과학회에서는 만 3세가 지났다면 아이를 안과에 데려가 1년에 한 번씩 전문의의 검사를 받도록 권장하고 있다.

 

Q. 안과 질환으로 대표되는 근시, 원시, 난시, 사시, 약시는 어떤 질환인가?

아이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안과 질환으로 근시, 원시, 난시와 같은 굴절이상과 양쪽 눈의 방향이 다른 사시가 있으며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정상 시력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약시가 발생하기도 한다.

눈에서 필름 역할을 맡은 망막에 초점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하게 보이지 않을 때는 굴절이상이라 부르며 근시는 상이 망막 앞에 맺히는 경우이고 원시는 상이 망막 뒤에 맺힌다. 따라서 근시일 경우에는 상을 뒤로 가게 하는 오목렌즈 안경이 필요하며 반대로 원시일 경우에는 상을 앞으로 끌어오는 돋보기 안경이 필요하다.

난시는 눈의 렌즈 역할을 하는 각막이나 수정체가 타원 모양으로 두경선의 굴절률이 달라 초점이 앞뒤로 맺히는 경우이다.

사시는 양쪽 눈의 시선 방향이 다른 질환으로, 방향에 따라 외사시, 내사시, 상사시, 하사시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아이들의 가장 흔한 사시는 간헐외사시로 평소에는 괜찮다가 기상했을 때나 피곤할 때, 멍할 때 한쪽 눈이 바깥으로 빠지는 경우를 말한다.

약시란 눈에 다른 이상이 없는 데도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시력이 발달되지 않아 안경을 쓰고도 정상시력이 나오지 않거나 양쪽 눈의 시력 차이가 두 줄 이상 차이나는 경우를 말한다.

Q. 조기에 안과 질환을 발견할 경우 치료는 가능한가?

아이가 시력이 나빠 앞서 말씀드린 증상이 있거나 보는 것이 불편하다면 안경 착용을 해야 한다. 특히 시력 발달이 완성되는 7~8세 이후에야 굴절이상을 진단하게 된다면 약시 치료가 늦은 경우가 많다.

사시 질환의 경우 내사시에 해당한다면 한쪽 눈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 억제가 자주 나타나 약시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른 나이에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다. 간헐외사시의 경우 두 눈을 모으는 융합능력이 좋거나 사시 각도가 크지 않은 경우 조기 수술보다 경과 관찰을 하는 것이 좋다.

Q. 아이들이 TV, 스마트폰 등에 많이 노출될 경우 정말 시력에 영향을 주나?

근시에서 상이 망막 앞에 맺히려면 렌즈 역할을 하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률이 높아지거나 필름인 망막이 뒤로 옮겨져야 하는데 근시 발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아이가 성장하면서 눈의 앞뒤 길이가 길어져 필름 역할을 하는 망막이 뒤로 옮겨지며 발생한다. 그렇다면 TV, 핸드폰을 보면 정말 망막이 뒤로 옮겨져 근시가 발생해 눈이 나빠질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핸드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자체가 근시의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는 없다. 근시의 원인인 눈의 앞뒤 길이 증가는 물체를 눈 앞에 가까이 가져와 보려는 근거리 작업이 가장 흔한 유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근시 진행을 막기 위해서는 책이든 핸드폰이든 가까이에서 보지 않는 것이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야외활동이 근거리 작업을 줄여 근시 억제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

2020.03.12

태그

#소아사시 , #약시 , #근시 , #소아안과 , #시력 , #망막